ADHD 꿀팁 모음

[ADHD 대화법 가이드] 자연스럽고 편안한 소통을 위한 핵심 팁

블린데디 2024. 12. 25. 15:30



ADHD(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를 지닌 많은 분들은 종종 빠르게 말하거나(혹은 너무 느리게), 중간에 대화를 가로채거나, 집중력이 흐트러져서 대화의 중요한 포인트를 놓치기 쉽습니다. 이 때문에 “바보같이 보이면 어떡하지?”라는 불안이나, “정상적으로 보이려다 더 이상해 보이면 어쩌지?” 같은 두려움에 사로잡혀 대화를 기피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몇 가지 기본적인 “소통의 원칙”을 이해하고 연습한다면, ADHD로 인한 사회적 불안을 줄이고 대화를 좀 더 자연스럽게 이어갈 수 있습니다.


---

1. ADHD와 대화의 어려움

대부분의 사람들은 별다른 지침 없이도 “당연히 알 것”으로 여겨지는 소통 규칙을 자연스럽게 습득합니다. 그러나 ADHD, 학습 차이, 혹은 자폐 스펙트럼에 있는 분들은 이러한 “비공식적”이면서 “암묵적인” 대화 규칙을 배우지 못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 결과 사회적 상황에서 긴장하게 되거나, 대화의 흐름을 끊거나, 혹은 스스로를 과도하게 비난하며 움츠러들기 쉽습니다.






---

2. 자연스럽게 대화에 참여하는 3단계

2-1. 대화에 합류하기(Join the Conversation)

1. 먼저 물어보기
이미 진행 중인 대화라면, 무작정 끼어들기보다 “나도 같이 이야기해도 될까?”라고 양해를 구해보세요.


2. 주변 상황을 파악하기
ADHD를 가진 사람들은 흥분해서 막 뛰어들다가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잠깐 숨을 고르고, 상대방의 표정이나 목소리 톤 같은 비언어적 신호까지 파악해보세요.




---

2-2. 대화를 이어가기(Participate in the Conversation)

1. 적극적 경청하기

상대방이 말한 내용을 요약하거나(“그러니까 네가 말하는 건…”), “새 직장에 들어갔다니 정말 잘됐다!”처럼 반영(미러링)하는 문장을 사용해보세요.

질문은 좋지만, 너무 많이 하면 면접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적절한 빈도로 호기심을 표현하세요.

다른 사람의 경험을 평가절하하거나 비판하지 않는 태도를 유지하세요. 대화가 불쾌하게 마무리될 수 있습니다.



2. 주의력이 흩어졌을 때 대처하기

ADHD 특성상 잠깐이라도 의식이 다른 곳에 가버릴 수 있습니다. 갑자기 “어, 뭐라고?”라고 묻는 대신, 조용히 옆 사람에게 “지금 어떤 얘기 중이지?”라고 물어보거나, 다시 집중하여 맥락을 파악하세요.




3. 자신의 말투와 몸짓 살피기

목소리 속도와 음량이 지나치게 빠르거나 크지는 않은지 확인하세요.

함께 있는 사람들의 표정을 살펴보면서 내 목소리 톤이 적절한지 체크해봅니다. 때로는 도우미 역할을 해줄 친구나 지인에게 신호를 부탁해도 좋습니다.

몸짓과 표정도 중요합니다. 팔짱을 끼고 고개를 돌리는 자세는 불편함이나 거부감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대신 살짝 앞으로 기울이는 자세, 부드러운 시선 처리가 호감을 줄 수 있습니다.

뚜렷한 틱 증상(예: 투렛증후군)이나 **과도한 fidget(손장난, 다리떨기 등)**이 있다면, 미리 상대방에게 “내가 이런 습관이 있어 이해해달라”고 말해두면 대화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4. 진정성 유지하기

나의 불안감을 감추려고 과한 행동을 하기보다는, 상대의 이야기에 집중하며 **‘지금 이 순간’**에 머무르는 것이 좋습니다.





---

2-3. 대화 마무리하기(Leave the Conversation)

대화를 떠날 때는 “그럼 난 먼저 가볼게. 오늘 이야기 즐거웠어!”처럼 인사를 전하고 자리를 뜨세요. 갑자기 사라지면 대화 상대가 ‘나를 버리고 간’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3. 대화를 돕는 ‘APPLE’ 5원칙

ADHD 및 다양한 신경다양성(Neurodiversity)을 지닌 분들이 대화 스킬을 기억하기 쉽게 만든 공식입니다. 아래 다섯 가지 키워드를 떠올리며, 매 순간 자신을 체크해보세요.

1. A: Ask / Assess

대화에 들어갈 때는 먼저 허락을 구하고, 상황을 파악(Assess) 합니다.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며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보세요.



2. P: Physical proximity & volume

**물리적 거리(Physical proximity)**와 **음량(volume)**을 상대방에게 맞추는 연습을 하세요.

상대방이 터치에 민감하지 않은지, 혹은 서 있거나 앉을 때 어느 정도 거리가 편안한지 주의 깊게 관찰하세요.



3. P: Participate with reflective statements

“네 말은 이런 거지?”와 같이 반영적 문장을 사용해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세요.

상대방을 존중하며, 비판이나 부정적 판단은 자제하는 것이 대화를 길게 이어가는 핵심입니다.



4. L: Lay off the self-criticism

“내가 또 실수하면 어떡하지?” “상대가 날 이상하게 보면 어떡하나?” 같은 내적 비판을 잠시 내려놓으세요.

현재 대화에 집중하는 것이 훨씬 중요합니다.



5. E: Enjoy

대화라는 것은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즐거운 활동입니다.

내가 가진 매력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면서, 동시에 상대방의 흥미와 관심사도 기쁘게 나눌 수 있어야 합니다.





---

4. 마무리: ADHD도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다

ADHD가 있더라도, 혹은 사회불안이나 학습 차이가 있더라도, 대화 스킬은 학습하고 훈련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지속적인 연습과 피드백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APPLE 원칙과 적극적 경청, 진정성, 적절한 거리와 표정을 염두에 둔다면, 더욱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소통을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