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관련 유머로 가끔 들리는 말이있다.
우리나라는 거의 구분 없이 사용하는데 그건 영어사전 번역의 오류로 인한 의견차이다.
실제로 다른 나라에서는 구분을 하는 경우가 많다.(유머인줄 알았더니 다큐였음)
좌측이 트루 시나몬cinnamon, 우측이 수정과 만드는 계피다Cassia.
구구하게 학명이고 뭐고 쓰기도 귀찮고 대충 적자면 시나몬이나 계피라고 불리는 것들은 계수나무가 아닌 녹나무의 종류들인데
트루시나몬, 실론시나몬이라고 불리는 스리랑카산 시나몬은 맵지 않고 달짝지근하면서 청량감을 주는
유게놀 성분이 있어서 은은한 향이 좋은데 가열하면 향이 죽는다. 홍차 같은 것에 들어간다.
그냥 시나몬이라고 부르는 것은 베트남산 중국산 인도네시아산 등의 카시아다. 이것들도 각기 종류가 다르지만
우리가 수정과에 넣는 매운 계피라고 보면 되고 유게놀 성분이 없는 대신 장뇌 성분이 있어서 맵지만
시나몬롤 등에 제빵용으로 고온가열해도 향이 살아있지.
다시 말하면 트루시나몬과 계피(카시아)의 차이는 복숭아와 천도복숭아 정도의 차이라고 보면 된다.
이것이 무슨 관련이 있냐고 물어본다면 쿠마린 때문이야.
계피가 당뇨병에 좋아서 하루에 2~3그램 정도 먹어주면 당뇨 전단계인 경우의 혈당관리에 아주 도움이 된다.
위에서 탄수화물이 내려가는 속도를 느리게 해준다고 하는데.
문제는 계피에 독성이 있다.
쿠마린이라는 물질인데 흔히 천연모기약을 만들고 싶으면 계피 우린 물을 피부에 뿌리라고 하는데,
쿠마린은 천연 해충방지성분이지만,
이게 간과 신장에 아주 안 좋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피를 식용으로 금지하지 않는 이유는
바로 사람에게 해를 끼치게 되려면 장기적으로 많은 양을 먹어야 하니까 통계적으로 우리나라 인구가.
먹는 양을 평균해서 그걸 판단기준으로 삼는데 그 기준보다 미미하기 때문이지.
라면이나 소세지, 스팸도 매일 먹는 사람이 없다고 가정하고 해롭지 않다고 하는 거나 마찬가지다.
매일 그걸 먹으면 건강 해치는 사람이 나오겠지.
과량 사용을 우려해서 이 쿠마린은 식품첨가물로 사용이 금지된 성분이다.
문제는 계피가 당뇨에 좋다고 믿고 매일 먹는 사람들인데 당뇨환자들은 간하고 신장도 같이 안 좋은
경우가 많거든. 이런 사람들은 굳이 먹으려면 계피가 아니라 트루시나몬을 먹어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트루시나몬보다 카시아에 들어있는 쿠마린이 적게는 10배에서 많게는 천 배 까지 많다고 해.
구분하는 방법은 트루시나몬은 속껍질을 아주 얇게 벗겨내서 돌돌말린 시나몬스틱 안을 보면 여러겹으로 되어있고 색이 밝다.
카시아는 두꺼운 껍질이 대충 말려있고 겉은 코르크 재질이라 색이 진한 편이지.
이건 둘 다 카시아인데 왼쪽은 코르크층을 제거해서 만든걸로 계심이라고 부른다.
색이 밝다고 시나몬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그래도 이걸 분말로 만들면 육안으로는 구분하기 힘들다고 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트루시나몬이 만들기도 대단히 힘들고 가격도 10배 이상 비싸다.
그런 이유로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시나몬이란 것들은 대부분 베트남산 아니면 중국산 카시아다.
커피전문점에서 사용하는 시나몬도 알고보면 다 카시아다.
그러니 냄새도 별로인데 이거 왜 뿌리나 싶었던 것이다.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미국에서도 카시아와 시나몬을 혼동해서 쓰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카시아는 마트에서 계피가루라고 1킬로에 만원 정도면 사는데 반해서
당뇨환자용으로 캡슐에 넣어서 파는 트루시나몬은 어이없이 비싸다.
100그램에 6만원 정도.
스리랑카산 시나몬스틱은 40그램에 5천원 정도 하더라.
요약.
1. 엄밀히 말하면 계피(카시아)와 시나몬(트루시나몬)은 다르다.
2. 간, 신장독성이 있으니까 간하고 신장 때문에 약 먹는 사람은 계피 조심하자.
3. 국내에서 시나몬이라고 팔리는 것의 95프로는 계피다.
우리나라는 당뇨인구가 급진적으로 늘고 있는데 자신이 당뇨인줄도 모르고 사는 사람들 참 많다.
참고로 녹차 몸에 좋다고 살 빠진다고 카테킨 대량으로 추출한 것도 먹지 말자.
카테킨도 간독성이 있다.
뭐가 몸에 좋다는 말만 많고 해로운 점은 잘들 모르고 먹는데 간수치 안 좋으면
의사가 밥 외에 먹는 지용성 비타민 포함 잡다한 건강식품 다 끊으라고 한다.
알고 먹자.
'헬스케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력에 좋은 음식 8종 (0) | 2020.10.10 |
---|---|
의외로 숙취에 도움이 되는 음식 (0) | 2020.10.08 |
콘돔으로 막지못하는 성병들 (0) | 2020.10.01 |
올바른 마늘 섭취 방법, 마늘 입냄새 제거 (0) | 2020.10.01 |
[인생철학] 삶의 태도의 위력 (0) | 2020.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