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

멜라토닌 다이어트? 5시이전 식이요법 디너캔슬링

블린데디 2020. 10. 14. 21:32

제목처럼 오늘은 다이어트에대해 알아보려한다.

 

 

요즘 주위에 1끼먹는다느니 물만 먹는다느니 호르몬 조절 다이어트등

 

다이어트한다는 사람들이 많아서 이 글을 쓴다.

 

 

최근에 5시 이전에 먹어야 살을 뺄 수 있다던가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같은 말만 쉬운 얘기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어떻게 그럴까?

 

5시에 먹는 거랑 7시에 먹는거랑 뭐가다른지 확인 안하면 안되지않나 이기들아

그래서 조사를 좀 해봤다.

 

 

일게이들 인내심없으니까 선세줄요약

 

1. 전문적용어 디너캔슬링

 

2.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 살안찌게 대사작용

 

3. 5시이후에 먹으면 멜라토닌 분비를 방해 한다.

 

일단 정식 다이어트명칭이 있다.

 

바로 '디너 캔슬링'이다 (저녁밥 없애기ㅡ 이름 단순하다) 

 

독일에서 시작되서 전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김치녀,파오후,맘충,출근충,오덕 너나 나나 할 것없이 많은 분들이 하고계실 것같다.

 

뭐 다이어트의 골자는 이거다 ---->>>5시이후에는 신진대사의 효율이 떨어진다.

 

 

뭐 누구나 들으면 그냥 끄덕끄덕 거리는 설명이다.

 

근데 이걸로 왜 만족하냐 이기들아 저렇게 덜소화된 설명을 영혼없이 받아들이면 뭐가다른거냐.

 

확실히 짚고 넘어가자 과학적으로

 

 

과학적으로<

 

 

 

 

이건 한국xxx제약회사에서 설명한 디너 캔슬링다이어트의 효과인데 다음과같다.

 

 

디너 캔슬링은 체중조절은 물론 노화시계까지 늦추는 일석이조의 다이어트 비법으로 알려져 있다.

 

저녁에 위장이 비어 있으면 멜라토닌과 성장호르몬 분비가 촉진되기 때문이다디너 캔슬링은 체중조절은 물론 노화시계까지 늦추는 일석이조의 다이어트 비법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토닌이 신체의 생화학적 반응들을 줄여 세포들을 편히 쉬게 하고 성장호르몬이 세포 재생을 도와 장수하게 만든다

는 것이다.

 

어쨌든 굶기 다이어트의 핵심은 탄수화물을 적게 먹고 아미노산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다. 

 

(노화까지 늦추면 건강하게 살수있다... 혹했다 약간)

 

자 여기서 핵심은 [ 멜라토닌이 신체의 생화학적 반응들을 줄여 세포들을 편히 쉬게 하고 성장호르몬이 세포 재생을 도와 장수하게 만든다는 것이다.]이야 

 

그럼 멜라토닌이 뭐고 신체의 생화학적반응은 정확히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겠네

 

멜라토닌

 

일게이들도 들어본 적있을 거야. 아니면 멜라닌이랑 이름 비슷하다고 이 중요한 호르몬을 고분자합성수지랑 오해하면 곤란하다. 

 

일단 멜라토닌은 우리뇌의 일부분이자 호르몬분비를 담당하는 부분중하나인 송과선에서 나오는 호르몬이야.

 

송과선이란 솔방울닮았다고해서 붙여진이름이고 요즘은 한글화가 추새여서 솔방울샘이라고도해. 위키같은 곳에서는 구라안치고 3줄로 설명해놨다.

 

근데 사실 설명하자면 엄청 길다.

 

트립토판이나 분자구조 화학구조 뭐시기해서 항산화화학반응 이런 거까지 파고들면 논문한편이 나올 수있으니까 (쓸능력도 안되고 생화학전공자한테 미안합니다 소리나오니까) 필기정리해주듯이 간단하게 체크하고 넘어가자.

 

 

*1.멜라토닌은 밤에만 분비된다. 빛, 특히 청파장의 빛을 몸에 쬐면 우리 신경이 그걸 인지해서 송과선의 멜라토닌 호르몬의 분비가 방해된다.

 

*2.멜라토닌이 중요한 이유는 우리몸에서 청소부같은 역할을 해서 그렇다. 우리 일게이들이 아무리 이불속에서 옴짝달싹안한다해도 신진대사의 산물로 유해산소 및 자유라디칼이란게 생성된다.

 

유해산소란게 우리몸 구석구석에서 산화작용을 일으키고  DNA손상까지 일으키는 대표적인 노화물질이다.

 

방치해두면 두뇌도그렇고 신장,간등 노화되서 제구실을 못하게되지 멜라토닌은 밤에 분비되서 우리몸구석구석에 이 유해산소랑 자유레디칼을 제거하는 항산화역할을한다.

 

하룻밤 꿀잠자면 다음날 우리몸이 엑윽대지않고 팔팔하게 기능할수있겠지?

 

자 그럼 이제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의 효과를 알겠는가?

 

멜라토닌이 원활히 분비되면 신체의 대사효율이 높아지게되고 우리 파오후들이 처먹은 것들도 원활한 소화가 일어나 살찔일은 없을것이다.

 

 

그럼 5시 이후에 먹는 것이 어떻게 멜라토닌 호르몬 분비의 감소로 이어지는 걸까?

 

여기서는 간단허개 설명할 수있어. 멜라토닌분비가 원활히 이뤄지기위한 조건은 빛이 없는 밤인 것도 있는데 우리몸이 잠들고 손상된 세포를 복구하기에 최적화된 조건이 되야해.

 

즉 하루일과를 마친 우리 몸을 셧다운 시켜야되는것이다. 

 

그래서 먼저 장활동을 휴면시키는데 5시이후에 먹게되면 잘때도 장에 무리가가니까 멜라토닌 호르몬을 생성 할 수가없는 것이다.

 

뭐 전문적으로 파고들면 [혈당량과 멜라토닌분비량의 관계] 같은 통계수치로 근거를 댈 수가 있다.